본문 바로가기
# 한국로그 Korea/국내여행

Cheonan | Art Gallery and Open-air Sculpture Square #ARARIO. 천안 | #아라리오 갤러리, 조각

by 희플링 Heepling 2021. 4. 2.
반응형

 

 

 

 

 

 

Eve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or Arario Gallery shows you it is a gallery. Bench models are attached to the walls of the building that catches the eyes.

 

아라리오 갤러리는 외관부터 뭔가 갤러리답다. 건물 외벽 곳곳에 붙어있는 벤치 모형이 눈을 사로잡는다.

 

 

 

 


 

 

 

 

 

At the entrance to the gallery, you can see Damien Hirst's work <Hymn> which stimulates curiosity just looking at its back. The statue is a large creation of a children's educational toy - anatomy model that Hirst's son was playing with. The details of the statue are also very similar to the toy, so the toy company filed a copyright lawsuit against Hirst.

 

갤러리 입구에는 뒤태만으로도 호기심을 자극하던 데미언 허스트의 작품 <Hymn(찬가)>가 보인다. 이 작품은 데미언 허스트 아들이 가지고 놀던 해부학 모형을 크게 만든 것인데, 작품의 디테일 역시 그 모형과 매우 흡사하여 해부학 모형을 만든 회사가 데미언 허스트에게 저작권 소송을 제기했다.

 

 

 

 

 

 

 

▲ 사진 출처: www.ZapWow.biz

 

 

 

I have read an article about 《Is a giant spoon piece an art?.》 At that time my answer was, 'No.' If I read the behind story of <Hymn> without seeing it, I would have thought, 'Wow, a giant stuff that only magnified the size of a small toy is worth $10 million? I can magnify a small thing and call it an art!' However, there were something more in <Hymn>. The artist wanted to express the attitude of people living in oblivion of death through a human model that never decomposes. 

 

Total of four <Hymn>s were produced and sold for about £1 million($1.3 million) per piece, and Kim Chang-il, chairman of Arario gallery, bought a <Hymn> for $2.5 million and now it is said to be worth $10 million.

 

 

 

언젠가 《거대한 숟가락 조각은 예술인가?》 와 관련한 글을 읽은 적이 있다. 그 글을 읽었을 때 내 대답은 '아니오' 였다. 만약 <찬가>를 직접 보지 않은 채 <찬가>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었다면 그저 ‘장난감 사이즈를 키운 작품 가격이 어마어마하구나. 나도 집에 굴러다니는 물건 크기나 한번 키워볼까?’라고 생각했을 것 같다. 하지만 실제로 본 <찬가>에는 그 이상의 무언가가 있다. 작가는 <찬가>에서 절대 부패하지 않는 인체 모형을 통해 죽음을 망각한 채 살아가는 현대인의 삶의 태도를 표현하고자 했다. (한국일보 기사, 《 [걷고 싶은 길, 가고 싶은 거리] 세계 유명작가 작품 터미널 광장에 가득. 작품 가격만 1000억》 참고)

 

 

<찬가>는 총 4개가 제작되었고, 한 작품 당 약 100만 파운드(한화 약 15억)에 팔렸다. (이동준 블로그 dohny.com/48 참고) 아라리오 김창일 회장은 <찬가>를 250만 달러(한화 약 28억)에 매입했는데 현재는 그 가치가 1000만 달러(한화 약 113억)를 호가한다고 한다.

 

 

 

 

 

 

 

▲ Gallery Entrance 갤러리 입구 ㅋㅋ

 

 

 

The entrance to the Arario Gallery is on the second floor. Across from the statue looking inside from outside of the gallery stands the same-shaped statue as if it is reflected in a mirror.

 

아라리오 갤러리 입구는 2층에 있다. 갤러리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고 있는 조각상 맞은편에는 같은 모양의 조각상이 마치 거울에 반사된 것처럼 서있다.

 

 

 

 

 

 

 

 

 

 

Admission to the gallery is 3,000 won per person.

From October 2020 to April 2021, Arario Gallery displays Korean paintings. You can find out what exhibitions have been held in the past and what exhibition they are having on the Arario Gallery website www.arariogallery.com/ko/

 

 

갤러리 입장료는 1인 3000원이다.

2020년 10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아라리오 갤러리에는 한국 미술을 전시한다. 과거 어떤 전시를 했는지, 지금은 어떤 전시를 하고 있는지는 아라리오 갤러리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Skull eyes move in the wind 해골 눈알이 바람에 움직인다.

 

 

 

The Arario Gallery is a compact, two-story gallery. If you look down on the stairs from the second floor to the third floor, you can see Damien Hirst's another work <Jesus, H.Tap Dancing Christ I've seen the Light>.

 

Damien Hirst is known as an artist for its portrayal of death in unconventional and shocking way. I could tell that, especially when I looked at the skull and the anatomy model at the same time.

 

 

 

아라리오 갤러리는 총 2층으로 된 아담한 사이즈의 갤러리다. 입구인 2층에서 3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데미언 허스트의 또 다른 작품을 볼 수 있다. 작품명이 한국어로 번역이 안 되어 있는데, 한국어로는 <오, 주여! 저는 빛을 보고 있습니다.>가 될 것 같다.

 

 

데미언 허스트는 죽음이라는 주제로 파격적이고 충격적인 묘사를 하는 걸로 유명한 작가라 한다. 뒤의 인체 모형과 나란히 놓여있는 해골을 보고 있자니 정말 그런 것 같다.

 

 

 

 

 

 

 

▲ Unicorn located out of place. 뜬금없이 전시되어 있던 유니콘

 

 

 

Due to Hirst's sculpture at the entrance to the gallery, I assumed Arario Gallery was a gallery for modern arts, not for oriental nor western paintings. However, Korean arts were on display when I went to Arario gallery, which was okay although I thought it was a bit out of the blue. Seeing the unicor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Korean paintings in the corner of this small gallery, however, reminds me of the word "excessive."

 

 

갤러리 입구에 있는 허스트의 조각품 때문에 아라리오 갤러리는 동양화나 서양화가 아닌 현대미술을 주로 전시하는 갤러리일거라 생각했다. 막상 갤러리에 갔더니 한국 미술을 전시하고 있어 왠지 뜬금없다고 생각했지만 그래도 괜찮았다. 그런데 크지도 않은 갤러리 구석에 한국화와는 전혀 관련 없는 유니콘이 전시되어 있는 걸 보고 있자니 과유불급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 얼굴무늬 막음기와 같다. ㅎ.
▲ A giant chicken 거대한 닭,,,,
▲ ʚ(ȉˬȉ⁎)ɞ˒˒

 

 

 

 

 

 

 


 

Next to the Arario Gallery is Arario Sculpture Square. Everyone can enjoy sculptures for free. Even though this open-air exhibition is free, but the sculptures here are the works of quite prominent artists'.

 

아라리오 갤러리 옆에는 아라리오 조각광장이 있다. 지나가는 모든 사람들이 작품을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어쩌면 무료라서 그냥 지나치기 쉽지만 이곳의 조각들은 꽤 쟁쟁한 예술가들 작품이라고 한다.

 

 

 

 

 

▲ Kohei NAWA <MANIFOLD> 코헤이 나와 <매니폴드>

 

 

 

According to the explanation, the title <Manifold> is a combination of "Many" and "Fold." A number of pipes were bent and us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It depicts the appearance of materials such as elements converging and exploding at once.  

 

 

작품설명에 따르면 작품 제목인 <매니폴드>는 여러 개를 뜻하는 ‘매니’와 접는다는 의미의 ‘폴드’의 합성어다. 실제로 수십 개의 구부러진 파이프로 구조물을 세워 작품을 완성했다고 한다. 원소 등의 물질이 한꺼번에 융합되어 폭발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형상을 묘사한 것이다.

 

 

 

 

 

 

 

▲ INBAI KIM <I LOVE YOU>
▲ Damien Hirst <Charity>
▲ Subodh Gupta <Line of Control>

 

 

 

Subodh Gupta has been receiving international spotlight with his large sculptural works that use everyday objects in India as well as images that symbolize India. The giant mushroom cloud made of thousands of old stainless steel kitchen utensils commonly seen in an Indian household alludes to the Line of Control between India and Pakistan, one of main issues of modern Indian society. The political ten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suggested by the fusion of everyday and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banal kitchen utensils.

 

수보드 굽타는 인도를 상징하는 이미지와 인도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물건으로 만든 조각품으로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도가정에서 흔히 쓰는 헌 놋그릇과 요리 도구 수 천 개를 집적하여 만든 이 거대한 버섯구름 모양의 작품 <Line of Control>은 인도-파키스탄의 국경인 통제선(Line of Control)을 암시한다. 지극히 평범한 요리 도구들을 사용하여 일상과 현대 미술을 융합한 수보드 굽타는 이를 통해 현재 인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주요 문제 중 하나인 인도-파키스탄의 정치적 긴장감을 보여주고 있다.

 

 

 

 

 

 

 

▲Keith Haring, Untiltled <Figure on Baby>

 

 

 

Keith Haring is a familiar artist even to me who is not very interested in art. He became famous for his graffiti on the New York subway. He tried to break the boundaries between fine art and low art through public murals. 

 

키스 해링은 예술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내게도 익숙한 이름의 아티스트다. 뉴욕 지하철에 그린 낙서화로 유명해졌으며, 공공벽화를 통해 고급미술과 저급 미술의 경계를 허물고자 노력했다. 

 

 

 

 

 

 

 

▲ 사진 출처: https://www.haring.com/!/art-work/270

 

 

 

In my eyes, the sculpture looked like a person giving a horse ride to a baby, but considering that the title is <Figure on Baby> and looking at it from a different angle, the work seems to be a human shaped thing stepping on a baby.

 

내 눈에는 아기에게 말을 태워주고 있는 사람의 모습으로 보였는데작품 제목이 <Figure on baby 아기 위의 형상>인 점을 감안하면 아기를 밟고 있는 인간으로 보인다.

 

 

 

 

 

 

 

▲ Ci Kim <Life is Short, Art is Long>

 

 

 

"Life is short and art is long," said Hippocrates, a pioneer of Western medicine. The Greek word "techne," meaning 'academic,' became "art" in English. Since the sentece was from Hippocrates, its actual meaning should be, "life is short to learn medicine."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는 서양 의학의 선구자 히포크라테스가 남긴 말이다. ‘학문’을 뜻하는 그리스어 테크네(techne)가 영어로 art가 되었다. 히포크라테스의 말이니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는 사실 "의술을 익히기에는 인생은 짧다"라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이강룡 《번역자를 위한 우리말 연구》 p.31)

 

 

 

 

 

 

 

▲ Ci Kim <IMAGE Ⅱ>
▲ Keith Haring <Julia>

 

 

 

The name of the sculpture is <Julia>, but why does it look like a man?!

작품명은 줄리아인데 왜 남자 같지? (ง ͡ʘ ͜ʖ ͡ʘ)ง

 

 

 

 

 

 

 

▲ Fernandez Arman <Millions of Miles>
▲ Seong Dong Hoon <The Ignorant Bull - Don Quixote> 성동훈 <무식한 소-돈키호테>

 

 

 

Among the sculptures in Arario Gallery Sculpture Park, I liked Seong Dong Hoon's <Don Quixote> the most.

 

By using the product of material civilization like iron scraps and cement, Seong Dong Hoon compared the reality of modern society to the ignorant, even stupidly honest Korean bull, and then, humorously, connected the bull with the figure of Don Quixote.

When I read the title of the sculpture, I thought the figure sitting on the bull would be Don Quixote, but after reading the explanation, I think Don Quixote, who mistakes the 'reality' as 'a big bull and a human with fierce eyes,' is the person who is appreciating <Don Quixote>.  

 

 

 

아라리오 갤러리 조각공원에 있던 조각 중에서 나는 성동훈의 작품 <돈키호테>에 가장 눈이 갔다. 

 

물질문명의 부산물인 고철, 시멘트 등의 재료로 현대 사회의 현실을 무식하면서도 우직한 우리의 황소에 빗대고, 다시 이 황소를 돈키호테라는 인물과 연결시켜 해학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명만 읽었을 때는 황소위에 앉아 있는 인간의 형상이 돈키호테일거라 생각했는데, 작품설명을 읽고 보니 눈 앞의 '현실'을 높은 곳에 있는 '커다란 황소와 매서운 눈을 가진 인간'이라 착각하고 있는 돈키호테는, 작품을 보는 나인 듯 하다.

 

 

 

 

 

 

 

▲ INBAI KIM <Not Afraid of the Big Bad Wolf> 김인배 <늑대가 와도 무섭지 않아>

 

 

 

The creator of the park seems to like spooky works.

The above work is Kim In Bai's <Not Afraid of the Big Bad Wolf>. The pig sculpture is scary enough but a pig that isn't even afraid of a wolf? That is horrifying!

 

조각공원을 조성한 사람은 꽤 으스스한 작품을 좋아하는 것 같다. 

위의 작품은 김인배의 <늑대가 와도 무섭지 않아>이다. 이렇게 생긴 돼지를 보면 도망갈 마음도 들지 않을 만큼 무섭겠다고 생각했는데 늑대조차 무서워하지 않는 돼지였다니!! 더 무서워!! ㅋㅋ

 

 

 

 

 

 

 

 

 

 

 

 

반응형

댓글